무원
국어-문법-음운 변동 문제
  1. 2020  국회직 9급  국어
  2. 11. 다음 중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라[실라]: 동화 현상이 있다. ② 할는지[할른지]: 동화 현상이 있다. ③ 앓다[알타]: 탈락, 동화 현상이 있다. ④ 긁는[긍는]: 탈락, 동화 현상이 있다. ⑤ 광한루[광:할루]: 동화 현상이 있다.

                               


  3. 2020  지방직 7급  국어
  4. 문 9. ㉠~㉣의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식용유 ㉡ 헛걸음 ㉢ 안팎일 ㉣ 입학생 ① ㉠과 ㉢은 각각 음운의 첨가가 나타난다. ② ㉠과 ㉣은 각각 음운 변동 전과 후의 음운 개수가 같다. ③ ㉡과 ㉢은 각각 음운의 대치가 나타난다. ④ ㉡과 ㉣은 같은 유형의 음운 변동이 있다.

                               


  5. 2019  지방직 9급  국어
  6. 문 8. 다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 가을일[가을릴] ㉡ 텃마당[턴마당] ㉢ 입학생[이팍쌩] ㉣ 흙먼지[흥먼지] ① ㉠: 한 가지 유형의 음운 변동이 나타난다. ② ㉡: 인접한 음의 영향을 받아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③ ㉢: 음운 변동 전의 음운 개수와 음운 변동 후의 음운 개수가 서로 다르다. ④ ㉣: 음절 끝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오면 이 7개의 자음 중 하나로 바뀌는 규칙이 적용된다.

                               


  7. 2019  소방공무원  국어
  8. 6. <보기>와 같이 발음할 때 적용되는 음운 변동 규칙이 아닌 것은?
    <보 기>
    홑이불 → [혼니불] ① ㄴ 첨가 ② 두음법칙 ③ 자음동화 ④ 음절의 끝소리 규칙

                               


  9. 2019  국가직 9급  국어
  10. 문 5 국어의 주요한 음운 변동을 다음과 같이 유형화할 때, ‘부엌일’에 일어나는 음운 변동 유형으로 옳은 것은?
    변동 전 변동 후
    XaY XbY(교체)
    XY XaY(첨가)
    XabY XcY(축약)
    XaY XY(탈락)
    ① ㉠, ㉡ ② ㉠, ㉣ ③ ㉡, ㉢ ④ ㉡, ㉣

                               


  11. 2019  법원직 9급  국어
  12. 문21】<보기>의 ㉠∼㉣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 부엌 + 일 → [부엉닐] ㉡ 콧 + 날 → [콘날] ㉢ 앉 + 고 → [안꼬] ㉣ 훑+ 는 → [훌른] ① ㉠, ㉡ : ‘맞 + 불 → [맏뿔]’에서처럼 음절 끝에 올 수 있는 자음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난 음운 변동이 있다. ② ㉠, ㉡, ㉣ : ‘있 + 니 → [인니]’에서처럼 인접하는 자음과 조음 방법이 같아진 음운 변동이 있다. ③ ㉢ : ‘앓 + 고 → [알코]’에서처럼 자음이 축약된 음운 변 동이 있다. ④ ㉢, ㉣ : ‘몫 + 도 → [목또]’에서처럼 음절 끝에 둘 이상의 자음이 오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난 음운 변동이 있다.

                               


  13. 2019  국회직 9급  국어
  14. 5. 다음 <보기>와 같이 국어의 음운 변동 현상을 유형화할 때, 각 단어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 기>
    ㉠ 대치: XaY → XbY··········· 국물[궁물] ㉡ 축약: XabY → XcY·········· 국화[구콰] ㉢ 탈락: XaY → XY············· 좋으니[조으니] ㉣ 첨가: XY → XaY············· 솜이불[솜니불] ① ‘물난리’를 발음할 때에는 ㉠과 ㉡이 모두 일어난다. ② ‘짧다’를 발음할 때에는 ㉠과 ㉢이 모두 일어난다. ③ ‘몸값’을 발음할 때에는 ㉡과 ㉢이 모두 일어난다. ④ ‘막일’을 발음할 때에는 ㉡과 ㉣이 모두 일어난다. ⑤ ‘따뜻하다’를 발음할 때에는 ㉢과 ㉣이 모두 일어난다.

                               


  15. 2018-2  서울시 7급  국어
  16. 7. <보기> 중 음운변동으로 음운의 수에 변화가 있는 단어를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발전 ㄴ. 국화 ㄷ. 솔잎 ㄹ. 독립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17. 2018  지방직 7급  국어
  18. 문 5.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값진[갑찐]: 탈락, 첨가 현상이 있다. ② 밖과[박꽈]: 대치, 축약 현상이 있다. ③ 끓는[끌른]: 탈락, 대치 현상이 있다. ④ 밭도[받또]: 대치, 첨가 현상이 있다.

                               


  19. 2018  국가직 9급  국어
  20. 문 14. ‘깎다’의 활용형에 적용된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교체: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 탈락: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 첨가: 없던 음운이 생기는 현상 ○ 축약: 두 음운이 합쳐져서 또 다른 음운 하나로 바뀌는 현상 ○ 도치: 두 음운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현상 ① ‘깎는’은 교체 현상에 의해 ‘깡는’으로 발음된다. ② ‘깎아’는 탈락 현상에 의해 ‘까까’로 발음된다. ③ ‘깎고’는 도치 현상에 의해 ‘깍꼬’로 발음된다. ④ ‘깎지’는 축약 현상과 첨가 현상에 의해 ‘깍찌’로 발음된다.

                               


  21. 2018  서울시 9급 2회  국어
  22. 7. <보기>의 단어에 공통으로 적용된 음운 변동은?
    <보기>
    • 꽃내음[꼰내음] • 바깥일[바깐닐] • 학력[항녁] ① 중화 ② 첨가 ③ 비음화 ④ 유음화

                               


  23. 2017  경찰(순경) 여경  국어
  24. 2. <보기>의 ㉠에 들어갈 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보 기 >
    음운은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바뀌거나 없어지는 등의 음운 변동을 겪는다. 이 음운 변동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맏이[마지]’에서 ‘ㄷ’이 ‘ㅈ’으로 바뀌는 것처럼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현상, ‘갈-+-는[가는]’에서 ‘ㄹ’이 탈락하는 것처럼 어떤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현상, ‘비+물[빈물]’에서 ‘ㄴ’이 덧나는 것처럼 형태소가 결합할 때 어떤 음운이 덧붙는 첨가 현상, ‘많-+-고[만코]’에서 ‘ㅎ’과 ‘ㄱ’이 만나 ‘ㅋ’으로 합쳐지는 것처럼 어떤 음운으로 줄어드는 축약 현상이 있다.

    위에서 제시한 첨가 현상의 예로 __㉠__ 을/를 들 수 있다.
    ① 국민 ② 놓다 ③ 솜이불 ④ 의견란

                               


  25. 2017  서울시 9급 2회  국어
  26. 18. 음운 현상은 변동의 양상에 따라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다음 중 음운 현상의 유형이 나머지 셋과 가장 다른 하나는?
    ㉠ 대치 - 한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는 음운 현상 ㉡ 탈락 - 한 음소가 없어지는 음운 현상 ㉢ 첨가 - 없던 음소가 새로 끼어드는 음운 현상 ㉣ 축약 - 두 음소가 합쳐져 다른 음소로 바뀌는 음운 현상 ㉤ 도치 - 두 음소가 서로 자리를 바꾸는 음운 현상 ① 국+만 → [궁만] ② 물+난리 → [물랄리] ③ 입+고 → [입꼬] ④ 한+여름 → [한녀름]

                               


  27. 2016  서울시 9급  국어
  28. 3. 다음 중 음운변동의 성격이 나머지 셋과 가장 다른 것은?
    ① ‘옳다’는 [올타]로, ‘옳지’는 [올치]로 발음된다. ② ‘주다’와 어미 ‘-어라’가 만나 ‘줘라’가 되었다. ③ ‘막혀’는 [마켜]로, ‘맞힌’은 [마친]으로 발음된다. ④ ‘가다’와 어미 ‘-아서’가 만나 ‘가서’가 되었다.

                               


  29. 2016  경찰(순경) 1회  국어
  30. 3. 다음 중 음운 변동과 그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교체 : 부엌 [부억] ② 축약 : 붙여 [부쳐] ③ 탈락 : 담가도 [담가도] ④ 첨가 : 피어도 [피여도]

                               


  31. 2014  국가직 7급  국어
  32. 문 1. 동일한 음운 변동 현상을 보여 주는 예들로 묶인 것은?
    ① 늙는, 않고 ② 맏형, 쇠붙이 ③ 산동네, 보름달 ④ 생일날, 추진력

                               


  33. 2014  서울시 9급-사회복지  국어
  34. 문 1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음운 변동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음운 변동은 그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交替),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脫落),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첨가(添加),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로 되는 축약(縮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① 교체 - 부엌[부억] ② 탈락 - 굳이[구지] ③ 첨가 - 솜이불[솜니불] ④ 축약 - 법학[버팍]

                               


  35. 2013  국가직 7급  국어
  36. 문 11.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음소들이 결합하여 음절이 되고, 이것들이 다시 결합하여 단어가 되고 문장이 되면서 언어의 주요 기능인 의미 전달이 이루어진다. 음소들이 결합될 때 음소들의 음성적 특성, 즉 음성 자질들의 특성에 따라 앞뒤 음소들이 변하게 되는데 이것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소리가 변하는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노력 경제’와 ‘표현 효과’ 두 가지이다. 즉, 소리는 발음할 때 힘이 덜 드는 방향으로 바뀌거나 아니면 표현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가까운 조음 위치나 비슷한 조음 방법의 소리가 연속된 경우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음할 때 힘이 덜 들게 된다. 그래서 상이한 소리들이 비슷한 위치나 방법의 소리들로 닮아 가게 되는데 이것을 ‘동화’라고 한다. 곧 동화는 노력 경제에 부합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와 달리 음운의 변동에 ‘노력 경제’와는 상반된 심리 작용이 작동하기도 한다.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음소의 연결로 청각 효과가 약하다고 인지될 경우, 오히려 공통성이 적은 다른 음소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발음상 힘이 더 들더라도 청각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동하는 현상을 ‘이화’라고 하며, 이에는 모음조화 파괴 현상과 사잇소리 현상 등이 있다.
    ① ‘노력 경제’와 ‘표현 효과’는 음운 변동의 주요한 원인이다. ② 음운의 변동이 일어날 때에는 심리적 원인이 개입될 수 있다. ③ ‘표현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동화의 이점을 포기해야 한다. ④ 가까운 조음 위치나 비슷한 조음 방법을 사용할 경우 청각적 효과가 높아진다.

                               


주소복사 후 붙여넣기 하면 문제지를 보낼 수 있어요.
주소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