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
선사시대
구석기 유적지 ➜ 주먹도끼 ➜ 동굴, 막집 ➜ 채집, 사냥 ➜ 슴베찌르게 ➜ 뗀석기 ➜ 예술품
8
구석기 유적지
• 1935년 두만강 가의 함경북도 종성군 동관진에서 한반도 최초로 (가)___시대 유물인 석기와 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일본에서는 (가)___시대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 (가)구석기 국9-20-01 • 공주 석장리 유적-미송리식 토기 / X ⇒ 공주 석장리 유적-주먹도끼, 남한 최초 발굴 국9-21-05 연천 전곡리 : 아슐리안 석기 형태를 갖춘 주먹도끼와 박편도끼가 동아시아에서 처음 발견됨 법9-15-01 제주 빌레못 유적(남한), 상원 검은모루 유적(북한) / 1977 1966 국9-14-06 공주 석장리 유적(남한), 웅기 굴포리 유적(북한) / 1965 1964 구석기 시대의 존재를 확인 시켜준 유적 국9-14-06 단양 상시리 유적(남한), 덕천 승리산 유적(북한) / 1981 1972 국9-14-06 연천 전곡리 유적(남한), 평양 만달리 유적(북한) / 1978 1979 국9-14-06 •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제천 창내 유적, 서울 암사동 유적 등이 있다. / 제천 창내 유적(구석기 시대), 서울 암사동 유적(신석기 시대) 지9-12-01

5
주먹도끼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사용되었다. 국9-23-01 •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주먹도끼와 슴베찌르개 등이 사용되었다. / X ⇒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주먹도끼 등이 사용되었다. 지9-17-01 주먹도끼를 제작하는 사람들 법9-17-01
• 부산 동삼동 유적-아슐리안형 주먹도끼 / X ⇒ 경기 연천 전곡리 유적-아슐리안형 주먹도끼 국9-21-05 연천 전곡리에서는 사냥도구인 주먹도끼가 출토되었다. 국9-19-01

3
동굴, 막집
• 주로 동굴에 거주하거나 막집에 살았다. 법9-21-05 •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법9-19-17 채집사냥을 주로 하며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법9-13-20

2
채집, 사냥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국9-20-01 채집사냥을 주로 하며 동굴이나 막집에서 살았다. 법9-13-20

2
슴베찌르개
슴베찌르개 지9-18-01 •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주먹도끼와 슴베찌르개 등이 사용되었다. / X ⇒ 구석기시대 후기에는 슴베찌르게 등이 사용되었다. 지9-17-01

1
뗀석기
뗀석기를 주로 이용하였다. 법9-21-05

1
예술품
• 최초의 예술품이 나타났다. 법9-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