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
고려

고려 12세기(숙종, 예종)


숙종(재위: 1095~1105)
• ★(나)___는 이론과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 (나)의천국9-22-05 이론실천의 양면을 강조하였다. / 의천(1055~1101)지9-14-03 교관겸수의 수행 방법을 내세웠다. / 의천(1055~1101)법9-17-07 는 도(道)를 구하는 데 뜻을 두어 덕이 높은 스승을 두루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진수대법사 문하에서 교관(敎觀)을 대강 배웠다. 법사께서는 강의하다가 쉬는 시간에도 늘 “관(觀)도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經)도 배우지 않을 수 없다.”라고 제자들에게 훈시하였다. 내가 교관에 마음을 다 쏟는 까닭은 이 말에 깊이 감복하였기 때문이다. / 나: 의천(1055~1101)지9-14-03
• ( ㉠ )는/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하였다. / ㉠의천(1055~1101)지9-19-07 •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 / 의천(1055~1101)지9-17-2-08
• 우리나라 천태교학의 전통을 원효에게서 찾았다. / 의천(1055~1101)지9-17-2-08 /
(敎)를 배우는 이는 대개 안의 마음을 버리고 외면에서 구하고, (禪)을 익히는 이는 인연을 잊고 안의 마음을 밝히기를 좋아하니, 모두 한쪽에 치우친 것으로 두 극단에 모두 막힌 것이다. / 의천(1055~1101)법9-18-05 • (가)___는 “(敎)를 배우는 이는 대개 안의 마음을 버리고 외면에서 구하고, (禪)을 익히는 이는 인연을 잊고 안의 마음을 밝히기를 좋아하니, 모두 한쪽에 치우친 것으로 두 극단에 모두 막힌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 (가)의천지9-17-09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 의천(1055~1101), 교종 중심 통합지9-17-09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통합하였다. / 의천(1055~1101)지9-14-03 • 의천이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 의천(1055~1101)법9-16-06
국청사를 창건하고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 국청사(1095 의천) 천태종 창시(1097 의천)지9-16-08 • 의천이 국청사를 창건하는 것을 후원하였다. / 국청사(1095 의천)지9-15-13 •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 천태종 창시(1097 의천)지9-14-03 국청사를 중심으로 고려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 천태종 창시(의천 1097)지9-13-15 의천이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 천태종 창시(의천 1097)법9-14-10
• 의천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주전도감을 설치하였다. / 주전도감(숙종 1097)법9-22-09 • 의천이 화폐 주조를 건의하였다. / 주전도감(숙종 1097)법9-22-11
• 초기에는 은 1근으로 우리나라 지형을 본떠 만들었는데 그 가치는 포목 100필에 해당하는 고액이었다. 주로 외국과의 교역에 사용되었으며 후에 은의 조달이 힘들어지고 동을 혼합한 위조가 성행하자, 크기를 축소한 소은병을 만들었다. / 은병(1101)국9-17-11 • 은 한 근으로 우리나라 지형을 본 딴 은병을 만들어 통용시켰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활구(闊口)라 불렀다. / 활구(1101)국9-13-14 • 주전도감에서 왕에게 아뢰기를 “백성들이 화폐를 사용하는 유익함을 이해하고 그것을 편리하게 생각하고 있으니 이 사실을 종묘에 알리십시오.”라고 하였다. 이 해에 또 은병을 만들어 화폐로 사용하였는데, 은 한 근으로 우리나라의 지형을 본떠서 만들었고 민간에서는 활구라고 불렀다. / 은병(1101)지9-16-07 • 주전도감에서 왕에게 아뢰기를 “나라의 백성이 돈을 사용 하는 것의 유리함을 이해하고 그것을 편리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니 이 사실을 종묘에 고하십시오.”라고 하였다. 이 해에 또 은병도 만들어 화폐로 사용하였는데, 그 제도는 은 한 근으로 만들되 우리나라의 지형을 따서 만들었고, 민간에서는 활구라고 불렀다. / 은병(1101)법9-22-11 은병을 만들어 화폐로 썼는데, 은 한 근으로 만들되 우리나라 지형을 본떴다. 민간에서는 활구라 불렀다. / 은병(1101)법9-21-13 활구로 토지를 사들이는 귀족 / 활구(1101)법9-14-23 해동통보은병(銀甁) 같은 화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 해동통보(1102) 은병(1101)지9-17-10 삼한통보 등의 동전을 만들어 유통 하였다. / 삼한통보(1102)국9-15-13 삼한통보의 유통 / 삼한통보(1102)법9-19-08 해동통보를 비롯한 돈 15,000관을 주조하여 관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 해동통보(1102)국9-13-14 해동통보가 발행되었다. / 해동통보(1102 숙종)법9-22-11
• 숙종 때에 기자(箕子)사당을 세워 국가에서 제사하였다. / 기자사당(1102)지9-18-10
별무반의 편성을 건의하였다. / 별무반(1104 윤관)지9-22-16 윤관이 아뢰기를, “신이 적의 기세를 보건대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굳세니, 마땅히 군사를 쉬게 하고 군관을 길러서 후일을 기다려야 할 것입니다. 또 신이 싸움에서 진 것은 적은 기병(騎兵)인데 우리는 보병(步兵)이라 대적할 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라 하였다. 이에 그가 건의하여 처음으로 이 부대를 만들었다. / 이 부대 : 별무반(1104 윤관)지9-20-08 여진족에 대처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 별무반(1104 윤관)지9-20-08 여진 정벌을 위해 윤관이 건의한 별무반을 설치하였다. / 별무반(1104 윤관)지9-16-07 • ㉠___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고려는 별무반을 편성하였다. / ㉠여진 별무반(1104 윤관)지9-14-2-08 윤관이 “신이 여진에게 패한 이유는 여진군은 기병인데 우리는 보병이라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라고 아뢰었다. / 별무반(1104 윤관)지9-14-06 별무반과 함께 여진 정벌에 나서는 윤관 / 별무반(1104 윤관)법9-20-04 윤관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족을 몰아내었다. / 별무반(1104 윤관)법9-19-11 / 윤관은 (가)를 정벌하기 위해 별무반을 편성하였다. / (가)여진 별무반(1104 윤관)법9-17-11 별무반이 편성되었다. / 별무반(1104 윤관)법9-14-09

예종(재위: 1105~1122)
지방관이 없는 속군감무를 파견하였다. / 1106지9-17-2-07
9성 설치 / 여진, 별무반(1104 윤관), 9성 설치(1107)국9-18-02 / • 왕은 윤관이 이끄는 별무반을 파견하여 여진을 정벌한 후 동북쪽에 9개의 성을 쌓아 방어하도록 하였다. / 왕: 예종, 동북 9성(1107)법9-22-09 여진을 축출하고 동북 9성을 쌓았다. / 동북 9성(1107) 법9-13-04 윤관여진을 쳐서 적을 크게 패퇴시켰다. 여러 장수들을 보내어 경계를 정하고 웅주, 영주, 복주, 길주의 4개 주에 을 쌓았다. / 동북 9성(1107)법9-12-18 동북 9성을 건설한 계기가 되었다. / 동북 9성(1107)법9-12-24
• 고려에 동북 9성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였다. / 여진, 동북 9성 반환(1109)지9-21-04 / • 여진의 추장들은 땅을 돌려달라고 떼를 쓰면서 해마다 와서 분쟁을 벌였다. …(중략)… 이에 왕은 신하들을 모아 의논한 후에 그들의 요구에 따라 9성을 돌려주었다. / 동북 9성 반환(1109)법9-14-09
• 국자감에 7재를 두어 관학부흥하고자 하였다. / 1109국9-21-10
구제도감 / 1109국9-20-05 • 5월에 조서를 내리기를 “개경 내의 사람들이 역질에 걸렸으니 마땅히 (가)___ 을/를 설치하여 이들을 치료하고, 또한 시신과 유골은 거두어 묻어서 비바람에 드러나지 않게 할 것이며, 신하를 보내어 동북도와 서남도의 굶주린 백성을 진휼하라.”라고 하였다.-『고려사』- / (가)구제도감(1109)국9-20-05
혜민국 / 1112 의료기관국9-20-05
양현고를 설치하여 관학을 진흥시키고자 하였다. / 양현고 설치(1119)법9-22-09 • 국학에 처음으로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 양현고(1119)법9-20-16 • (가)를 발표할 당시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 X ⇒ 양현고(1119) (가)훈요10조(942)법9-18-03 / • 관학의 재정 기반을 마련하고자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 양현고(1119)법9-16-06 양현고의 지원을 받아 번성하였다. / 양현고(1119)법9-12-24
복원궁을 건립하여 도교부흥시켰다. /국9-17-08 • 예종 때에 도관(道觀)인 복원궁을 세워 초제를 올렸다. / 복원궁(예종 연간) 초제(1120)지9-18-10 •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 사상:도교국9-17-18 • 고려시대에 국가와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초제로 행하여졌다. / 사상:도교국9-16-17
• (경연은) 조선시대에 들어서 처음 도입되었다. / X ⇒ [고려]시대에 들어서 처음 도입되었다. 고려 예종때 처음 도입, 고려 공양왕때 경연이라 함법9-1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