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
조선 19세기 - 헌종, 철종

조선 19세기(헌종, 철종)


24대 헌종 (재위: 1834~1848_15년) / 7세 즉위
기해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은 그 지역의 어류를 조사한 『자산어보』를 저술하였다. / X ⇒ [신유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은 그 지역의 어류를 조사한 『자산어보』를 저술하였다. 기해사옥(1839)국9-14-17 • 윤지충 사건을 계기로 하여 기해박해가 일어났다. / X ⇒ 윤지충 사건을 계기로 하여 [신해박해]가 일어났다. 기해박해(기해사옥, 1839) 안동 김씨(시파)의 세도를 빼앗으려는 풍양 조씨(벽파)가 일으킨 것지9-19-14
• 대개 이 농법을 귀중하게 여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두 땅의 힘으로 하나의 모를 서로 기르는 것이고, …(중략)… 옛 흙을 떠나 새 흙으로 가서 고갱이를 씻어 내어 더러운 것을 제거하는 것이다. 무릇 벼를 심는 논에는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하천이나 물을 댈 수 있는 저수지가 꼭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없다면 볏논이 아니다. -『임원경제지』- / 이 농법: 이앙법국9-21-15 • 종래의 조선 농학과 박물학을 집대성하였다. / 서유구(1764~1845)지9-18-09 임원경제지 / 임원경제지(서유구 1806~1842)지9-18-09 • 전국 주요 지역에 국가 시범 농장인 둔전을 설치하여 혁신적 농법과 경영 방법으로 수익을 올려서 국가 재정을 보충할 것을 제안했다. / 서유구(1764~1845)지9-18-09 임원경제지 / 임원경제지(서유구 1806~1842)법9-16-13
• 우리나라에서 (가)___을/를 금하시는 것은 그 뜻이 정녕 어디에 있습니까? 먼저 그 뜻과 이치가 어떠한지 물어보지도 않고 지극히 죄악이라는 말로 사교(邪敎)라 하여 반역의 법률로 다스려 신유년 앞뒤로 인명이 크게 손상하였으나 한 사람도 그 원인을 알아보지 않았습니다. …(중략)… 이 도는 천자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사용하고 늘 실행해야 할 도리이니 가히 해가 되고 난(亂)으로 된다고 할 수 없습니다. - 정하상, 『상재전서』 / (가)천주교, 상재전서(1839 정하상 천주교서)법9-13-06 남인 계열의 실학자들이 신앙으로 받아들였다. / 천주교법9-13-06
세한도가 제작되었다. / 세한도(김정희 1844)지9-19-18
• 최초의 한국인 신부 김대건이 귀국하여 포교 중 순교하였다. / 김대건 순교(1846)지9-19-14

25대 철종 (재위: 1849~1862_14년) / 19세 즉위
서얼은 집단 상소하여 여러 차례 신분상승을 시도하였으나, 여전히 관직에 진출할 수 없었다. / X ⇒ 서얼은 집단 상소하여 여러 차례 신분상승을 시도하여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다]. / 신해허통(1851)지9-14-2-09
동학설립 / 1860.4.국9-20-16 사람이 곧 하늘이라. 그러므로 사람은 평등하며 차별이 없나니, 사람이 마음대로 귀천을 나눔은 하늘을 거스르는 것이다. 우리 도인은 차별을 없애고 선사의 뜻을 받들어 생활하기를 바라노라. / 동학(1860.4.)국9-20-16 • 이 사상을 바탕으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가 편찬되었다. / 이 사상:동학, 동경대전(1880.6.14. 최제우), 용담유사(1881.6. 최제우)국9-20-16 / 최제우동학창시 / 1860.4.국9-15-04 최제우동학창도하였다. / 1860.4.국9-14-16 동학이 창시되었다. / 1860.4 최제우지9-21-13 시천주인내천 사상을 강조하였다. / 동학(1860.4)법9-13-06
• 단성에서 시작된 농민봉기는 진주로 이어졌다. / 임술농민봉기 1862국9-20-16 • 농민들은 탐관오리와 토호의 탐학에 저항하여 진주성을 점령하기도 하였다. / 임술농민봉기(1862)지9-14-2-14 임술 농민 봉기를 주도했다. / 임술 농민 봉기(1862) 삼정의 문란이 원인법9-19-18 백낙신의 폭정을 견디다 못한 진주 백성 수만 명이 무리를 지어 서리들의 가옥 수십 호를 불사르고 부수며, 아전들을 둘러싸고 백성의 재물을 횡령한 일, 환곡을 포탈하거나 강제로 징수한 일들을 면전에서 문책하였다. / 임술농민봉기(1862) 법9-16-14 진주에서 시작되어 함경도 일대까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임술농민봉기(1862)법9-15-16 진주에서 시작된 전국적인 농민 항쟁이었다. / 임술농민봉기(1862)법9-12-01
•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했다. / 1862.5.국9-22-07 • 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1862.5.국9-14-16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었다. / 1862.5.지9-19-18 삼정이정청을 설치해 농민의 불만을 해결하려 하였다. /지9-16-09 • 조선 정부는 농민들의 요구에 대응하여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삼정이정청(1862.5.)지9-15-16 삼정이정청 설치 / 삼정이정청(1862.5.)법9-22-10 • 삼정의 문란을 개혁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삼정이정청(1862.5.)법9-22-21 삼정이정청을 설치하고 수취 제도 개혁을 강구하였다. / 삼정이정청(1862.5.)법9-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