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
조선 15세기(예종, 성종)

조선 15세기(예종, 성종)


8대 예종11468~1468_1년 / 19세 즉위


9대 성종1469~1493_25년 / 13세 즉위/span>
• 성리학에 투철한 사림 세력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지9-22-08 •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을 적극 중용하였다. /지9-17-2-02 • 공신들을 견제하기 위해 지방의 사림을 대거 등용하였다. /법9-19-06
유향소를 다시 설치하고, 사창제를 도입하였다. / 사창제 도입(문종 1451), 유향소 다시 설치(성종 1488), 사창제 폐지(성종 1470) 지9-12-14 • 앞서 이 기구의 사람들이 향중(鄕中)에서 권위를 남용하 여 불의한 짓을 행하니, 그 폐단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선왕께서 폐지하였던 것입니다. 간사한 아전을 견제하고 풍속을 바로잡는 것은 수령이 해야 할 일인데, 만약 모두 이 기구에 위임한다면 수령은 할 일이 없지 않겠습니까? - 『성종실록』- / 이 기구: 유향소법9-22-02 • 전하께서 다시 이 기구를 세우고 좌수와 별감을 두도록 하였는데, 나이가 많고 덕망이 높은 자를 추대하여 좌수로 일컫고, 그 다음으로 별감이라 하여 한 고을을 규찰하고 관리하게 하였다. - 『성종실록』- / 이 기구: 유향소법9-22-02 경재소를 통해 중앙의 통제를 받았다. / 유향소법9-22-02 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하여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 조선전기(15세기)국9-16-13 향촌 사회의 풍속을 교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 유향소법9-22-02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하는 역할을 하였다. / 유향소법9-22-02 유향소를 설치하여 수령보좌하였다. /법9-18-12
• 성종대에는 관수관급제를 실시하여 전주의 직접 수조를 지양하였다. / 1470국9-15-03 • 지방 관청에서 그 해의 생산량을 조사하고 조(租)를 거두어 관리에게 나누어 주었다. / 관수관급제(1470)지9-12-12 • (가)가 실시되어 국가의 토지 지배권이 한층 강화되었다. / (가)관수관급제(1470)지9-12-12 • 시기 순으로 (나), (다), (가)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 (나)과전법 (다)직전법 (가)관수관급제지9-12-12 국가에서 직접 세금을 거두어 관리에게 지급하였다. / 관수관급제(1470)법9-13-02
• 일본의 동정을 담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 해동제국기(1471 신숙주)국9-21-02 • 『해동제국기』 / 해동제국기(1471 신숙주)국9-18-20
• 『국조오례의』는 국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한 의례서이다. / 국조오례의(1474)국9-19-05 • 『국조오례의』 편찬 / 국조오례의(1474)국9-18-07 • 『국조오례의』를 편찬하여 국가의 예법과 절차를 정하였다. / 국조오례의(1474)지9-17-2-02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성종 7년에 간행된 『문화류씨 가정보』이다. / X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는 성종 7년에 간행된 『안동권씨 성화보』이다. / 1476지9-17-15 조선후기에 부유한 농민들은 족보를 사거나 위조하기도 하였다. /지9-17-15 조선초기의 족보는 친손과 외손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수록하였다. /지9-17-15 • 조선시대에는 족보가 배우자를 구하거나 붕당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지9-17-15
재가녀 자손의 관리 등용을 제한하는 법을 공포하였다. / 과부제가금지법(1477)지9-12-14 재가한 여자의 아들과 손자, 서얼은 문과에 응시할 수 없었다. / 서얼금고법(1415) 과부재가금지법(1477)법9-15-25
• ★홍문관을 두어 집현전을 계승하였다. / 홍문관(1478)국9-22-07 홍문관의 설치로 언론기능이 강화되었다. / 홍문관(1478)지9-14-2-16 홍문관을 두어 주요 관리들을 경연에 참여하게 하였다. / 홍문관(1478)법9-19-02 / • 왕에게 유교 경전과 사서를 가르쳐 유교의 이상 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었다. 강의는 매일 아침에 실시하는 것(조강 朝講)이 원칙이었으며, 주강(晝講)과 석강(夕講)을 포함하여 세 번 강의하던 시기도 있었다. 교재는 4서 5경과 역사 및 성리학 서적이었으며, 성종 이후에는 홍문관의 관원이 이를 담당하였다. / 경연, 홍문관(1478)법9-15-14
• 우리나라 역대 문장의 정수를 모은 『동문선』을 편찬하였다. / 동문선(1478 서거정)국9-21-03 • 『동문선』이 편찬되어 우리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동문선(1478 서거정)국9-20-03 • 전하께서는 … 신 서거정 등에게 명해 제가(諸家)의 작품을 뽑아 한 질을 만들게 하셨습니다. 저희들은 전하의 위촉을 받아 삼국시대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사(辭), 부(賦), 시(詩), 문(文) 등 여러 문체를 수집하여 이 중 문장과 이치가 순정하여 교화에 도움이 되는 것을 취하고 분류하여 130권을 편찬해 올립니다. / 동문선(1478 서거정)지9-12-14
• 『동국여지승람』이 만들어졌다. / 동국여지승람(1481)국9-18-07
• ★『경국대전』 완성 / 1484국9-22-07 • ★조선 시대 국가를 운영하는 핵심 법전인 『경국대전』은 세조대에 그 편찬이 시작되어 (가)__대에 완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전쟁으로 혼란에 빠진 국가 체제를 수습하고 새로운 정치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법전 정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나)__대에 『속대전』을 편찬하였으며, (다)__대에 『대전통편』을, 그리고 (라)__대에는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 경국대전 완성 (가)성종 (나)영조 (다)정조 (라)고종, 경국대전(1484)국9-22-07 • 세조가 신하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법의 과목(科目)이 너무 번잡하고 앞뒤가 맞지 않았기 때문에 상세히 살펴 다듬어 자손만대의 성법(成法)을 만들고자 한다.”라고 하셨다. 형전(刑典)과 호전(戶典)은 이미 반포되어 시행하고 있으나 나머지 네 법전은 미처 교정을 마치지 못했다. 이에 성상(聖上)께서 세조의 뜻을 받들어 여섯 권의 법전을 완성하게 하여 중외에 반포하셨다. / 성상: 성종, 성법(成法):경국대전(1484)국9-19-05 • 『경국대전』을 완성하였다. / 경국대전(1484)지9-22-04 경국대전편찬하였다. / 경국대전(1484)법9-17-13
• ★(나)는 고조선부터 고려에 이르는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 (나)동국통감(1485 서거정)국9-22-09 / 국왕, 훈신, 사림이 서로 합의하여 통사체계를 구성하였다. / 동국통감(1485 서거정)국9-20-09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 동국통감(1485 서거정)국9-19-12 / 단군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본 통사이다. / 동국통감(1485 서거정)지9-21-11
• 『표해록』 / 1488 최부, 바다에서 표류한 것을 지은 책국9-18-20
•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을 편찬하였다. / 금양잡록(1492 강희맹)지9-16-17 강희맹이 경기 지역의 농사 경험을 토대로 『금양잡록』 을 편찬하였다. / 금양잡록(1492 강희맹)법9-22-22
정읍사, 처용가 등이 한글로 수록된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다. / 악학궤범(1493)지9-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