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
조선 15세기(세종)

조선 15세기(세종)


4대 세종(재위: 1418~1449_32년) / 22세 즉위
• 옛적에 관가의 노비는 아이를 낳은 지 7일 후에 입역(立役) 하였는데, 아이를 두고 입역하면 어린 아이에게 해로울 것이라 걱정하여 100일간의 휴가를 더 주게 하였다. 그러나 출산에 임박하여 일하다가 몸이 지치면 미처 집에 도착하기 전에 아이를 낳는 경우가 있다. 만일 산기에 임하여 1개월 간의 일을 면제하여 주면 어떻겠는가. 가령 저들이 속인다 할지라도 1개월까지야 넘길 수 있겠는가. 상정소(詳定所)로 하여금 이에 대한 법을 제정하게 하라. /지9-19-08
•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였다. / 쓰시마섬 정벌(1419 이종무)국9-17-12 이종무가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 쓰시마섬 정벌(1419 이종무)지9-22-12 이종무대마도 정벌 / 쓰시마섬 정벌(1419 이종무)지9-20-12 • 조선 수군이 쓰시마를 정벌하였다. / 쓰시마섬 정벌(1419 이종무)법9-16-08 대마도 정벌(1419) /법9-12-21
• 문화와 제도를 유교식으로 갖추기 위해 집현전을 창설하였다. / 집현전(1420)국9-18-07 집현전의 설치 / 집현전(1420)국9-13-10 집현전을 설치하여 제도, 문물, 역사에 대한 연구와 편찬 사업을 전개하였다. / 집현전(1420)지9-13-04 집현전을 설치하였다. / 집현전(1420)법9-17-13 집현전 학사들이 강의를 맡던 시기도 있었다. / 경연, 집현전(1420)법9-15-14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금속 활자를 주조하였다. / 경자자(1420), 갑인자(1434)지9-16-17 • 정부가 조선통보를 유통시킴으로써 동전화폐 유통이 활발해졌다. / X ⇒ 조선 전기 조선통보를 유통시켰으나 유통이 활발하진 [않았다]. / 조선통보(1423)국9-13-15 • 사형의 판결에는 삼복법을 적용하였다. / 1426지9-19-08
부산포, 제포, 염포에 왜관이 설치되었다. / 삼포개항(1426)법9-22-13
• 이앙법은 세종 때 편찬된 『농사직설』에도 등장한다. / 농사직설(1429)국9-21-15 • 『농사직설』은 정초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것이다. / 농사직설(1429)국9-15-17 • 『농상집요』는 중국 화북 지방의 농사 경험을 정리한 것으로서 기후와 토질이 다른 조선에는 도움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농사 경험이 풍부한 각 도의 농민들에게 물어서 조선의 실정에 맞는 농법을 소개한 이 농서가 편찬되었다. / 이 농서: 농사직설(1429)국9-14-14 • 풍토에 따라 곡식을 심고 가꾸는 법이 다르니, 고을의 경험 많은 농부를 각 도의 감사가 방문하여 농사짓는 방법을 알아본 후 아뢰라고 왕께서 명령하셨다. 이어 왕께서 정초와 변효문 등을 시켜 감사가 아뢴 바 중에서 꼭 필요하고 중요한 것만을 뽑아 『농사직설』을 편찬하게 하셨다. / 왕 : 세종, 농사직설(1429)지9-22-04 • 『농사직설』 편찬 / 1429지9-20-12 •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씨앗의 저장법, 모내기법 등 농민의 실제 경험을 종합하여 농서를 편찬하였다. / 농사직설(1429)지9-14-2-03 정초, 변효문 등이 왕명에 의해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을 정리한 『농사직설』을 편찬하였다. / 농사직설(1429)법9-22-22
• / (가)칠정산(1444) (나)농사직설(1429)법9-16-13
• 천체 관측 기구인 혼의, 간의 등을 제작하였다. / 간의(1432) 혼의(1433)지9-16-17
• 『향약집성방』 / 1433지9-19-04 • 우리 풍토에 맞는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 향약집성방(1433)지9-16-17 • 우리 풍토에 적당한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하여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 향약집성방(1433)지9-14-2-05
• 『삼강행실도』는 모범적인 효자⋅충신⋅열녀를 다룬 윤리서이다. / 삼강행실도(1434 설순)국9-19-05 • 백성들의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다. / 삼강행실도(1434 설순)국9-17-12 • 삼강은 인도의 근본이니, 군신·부자·부부의 도리를 먼저 알아야 할 것이다. 이제 내가 유신에게 명하여 고금의 사적을 편집하고 아울러 그림을 붙여 만들어 이름을 ‘삼강행실’이라 하고, 인쇄하게 하여 서울과 외방에 널리 펴고자 한다. / 삼강행실도(1434)지9-17-2-02
이것을 혜정교와 종묘 앞에 처음으로 설치하여 해 그림자를 관측하였다. 집현전 직제학 김돈이 명을 짓기를, ‘…구리를 부어서 그릇을 만들었는데, 모양이 가마솥과 같다. 지름에는 둥근 송곳을 설치하여 북에서 남으로 마주 대하게 했고, 움푹 파인 곳에서 (선이) 휘어서 돌게 했으며, 점을 깨알같이 찍었는데, 그 속에 도(度)를 새겨서 반주천(半周天)을 그렸다. … 길가에 설치한 것은 보는 사람이 모이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백성도 이것을 만들 줄 알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 이것: 앙부일구(1434)법9-13-07
• 여진족을 두만강 밖으로 몰아내고 6진을 개척하였다. / 6진(1434)국9-17-12 • 김종서가 6진을 설치하였다. / 6진(1434)법9-19-11 / 6진 설치(1434) /법9-12-21
• 왕명으로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노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 동국세년가(1436 권제)국9-20-09 /
•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설치되었으나 임진왜란때 소실되었다. / 4대 사고 설치(1439 서울, 성주, 전주, 충주)지9-14-2-07
연분 9등법 실시 / 1444국9-12-15 공법을 제정하였다. / 1443지9-22-04 / 전분6등법연분9등법 시행 / 1443지9-20-12 • 국왕이 말했다. “나는 일찍부터 이 제도를 시행해 여러 해의 평균을 파악하고 답험(踏驗)의 폐단을 영원히 없애려고 해왔다. 신하들부터 백성까지 두루 물어보니 반대하는 사람은 적고 찬성하는 사람이 많았으므로 백성의 뜻도 알 수 있다.” / 이 제도: 공법(1443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지9-17-12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조세를 차등 징수하였다. / 전분 6등법, 공법(1443)지9-17-12 • 공법 제정시 조정의 신하와 지방의 촌민에 이르기까지 18만 명의 의견을 물었다. / 공법(1443)지9-13-04 • (라) 경상도⋅전라도⋅충청도는 상등, 경기도⋅강원도⋅황해도 3도는 중등, 함길도⋅평안도는 하등으로 삼으며 …… 각 도의 등급과 토지 품질의 등급으로써 수세하는 수량을 정한다. / 공법(세종 1443)법9-22-06 전분6등법연분9등법을 실시하였다. / 공법(1443)법9-14-13 연분9등법에 따라 세금액수를 정하였다. / 공법(1443)법9-12-07
계해약조를 통해 일본과의 제한된 교역을 허가하였다. / 계해약조(1443)법9-14-16
• 왕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중국의 선명력,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외편으로 구성되었다. 내편은 수시력의 원리와 방법을 해설한 것이며, 외편은 회회력(이슬람력)을 해설, 편찬한 것이다. / 왕:세종, 칠정산 내편과 외편(1444)지9-16-17 / 중국의 수시력아라비아의 회회력을 참고하여 역법서인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 칠정산(1444)지9-14-2-05 은 원나라의 수시력을 참고하여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그 책의 말미에 동지⋅하지 후의 일출⋅일몰 시각과 밤낮의 길이를 나타낸 표가 실려 있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한양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것이다. / 왕:세종 칠정산내편(1444)지9-13-04 한양 기준 역법서의 편찬, 칠정산 / 칠정산(1444)법9-17-09 • / (가)칠정산(1444) (나)농사직설(1429)법9-16-13 • 조선은 개국 후에도 여전히 고려 때 사용하였던 중국의 역법을 썼으나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점이 있었다. (가)__ 이/가 즉위한 후 정인지, 정초 등에게 명하여 한양을 기준으로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도록 하고, 수시력회회력을 자세히 살펴 우리의 실정에 맞게 바로 잡아 『칠정산 내편』과 『칠정산 외편』을 만들게 하였다. / (가)세종 칠정산(1444)법9-14-13
• 『의방유취』 / 의방유취(1445)지9-19-04 • 의학 백과 사전인 의방유취를 편찬하였다. / 의방유취(1445)법9-13-07
정인지훈민정음해례 서문을 지었다. / 훈민정음해례(1446)지9-13-08
•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표현한 몽유도원도가 그려졌다. / 1447 안평대군의 무릉도원의 꿈을 그림국9-14-14 안견몽유도원도 / 1447 안평대군의 무릉도원의 꿈을 그림, 일본 덴리대학 소장지9-14-13
석보상절을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하였다. / 1447법9-22-24
• 화약무기 제작과 그 사용법을 정리하여 『총통등록』을 편찬하였다. / 총통등록(1448)지9-14-2-05
• 압록강과 두만강 지역에 4군 6진을 설치하였다. / 4군 6진 개척(1434~1449)지9-17-2-02 4군 6진이 개척되었다. / 4군 6진 개척(1434~1449)법9-22-13 4군 6진을 개척하였다. / 4군 6진 개척(1434~1449)법9-19-02 • / (가) 쌍성총관부 탈환(공민왕, 1356) (나) 4군 6진(세종, 1449)법9-17-09
• 불교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병합하고 사원이 가지고 있던 토지와 노비를 정비하였다. /지9-13-04 • 불교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병합하였다. /법9-2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