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원
일제강점기 1919

일제강점기 (1910.8.22. ~ 1945.8.15.)


일제강점기 1919
• 상쾌한 아침의 나라라는 뜻을 지닌 조선은 일본의 총칼 아래 민족정신을 무참하게 유린당했다. … (중략) … 조선민족은 독립항쟁을 줄기차게 계속하였다.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1919년의 독립만세운동이었다. - 네루,『세계사 편력』 -/ 3·1 만세 운동(1919.3.1.)국9-19-04 기미독립선언서 에는 ‘조선건국 4252년’으로 연도를 표기 하였다. / 3·1 만세 운동(1919.3.1.)국9-19-11 • 독립운동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대규모의 만세운동이었다. / 3·1 만세 운동(1919.3.1.)국9-14-19 세계 약소 민족의 독립운동에도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 3·1 만세 운동(1919.3.1.)국9-14-19 만세시위가 확산되자, 일제는 헌병 경찰은 물론이고 군인까지 긴급 출동시켜 시위군중을 무차별 살상하였다. 정주, 사천, 맹산, 수안, 남원, 합천 등지에서는 일본 군경의 총격으로 수십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화성 제암리에서는 전 주민을 교회에 집합, 감금하고 불을 질러 학살하였다.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 한국독립운동지혈사(1920) 사건:3.1 만세 운동 화성 제암리 사건(1919.4.15.)국9-14-19 • 일제는 무단통치를 이른바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 3·1 만세 운동(1919.3.1.)국9-14-19 3·1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며, 일제의 사찰령반대하였다. / 3·1 만세 운동(1919.3.1.) 한용운지9-14-05 • 동대문 밖에서 다시 한 번 일대 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이 날은 태황제의 인산날이었으므로 망곡하러 모인 군중이 수십만이었다. 인산례(因山禮)가 끝나고 융희제(순종)와 두 분의 친왕 이하 여러 관료와 궁속들이 돌아오다가 청량리에 이르렀다. 이때 곡 소리와 만세 소리가 일시에 폭발 하여 천지가 진동하였다. / 3·1 만세 운동(1919.3.1.) 태황제:고종법9-22-20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 3.1 운동(1919)법9-22-20 1919년 3∙1운동 / 3·1 만세 운동(1919.3.1.)법9-20-19 3.1운동 발생(1919) /법9-18-08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 3.1 운동(1919)법9-17-23 3⋅1 운동을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 3.1운동(1919.3.1.)법9-16-21 • … 오늘은 한국의 위대한 날이다. … 오후 2시, 중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들이 일본의 한국 지배에 항거하는 시위를 벌였고, 거리로 나가 양손을 위로 올리고 모자를 흔들며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행진을 하기 시작했다. 거리의 사람들 역시 이 대열에 합류했고, 도시 전역에 기쁨의 외침 소리들이 울려 퍼졌다. … 최근 일본정부는 소위 ‘역도들’을 제압할 수 있는 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우리는 맨손으로 단순히 ‘독립 만세’를 외치는 사람들에게 … 보병대 2사단, 포병대 1사단, 기병대 2사단이 일본으로부터 파병되고 난 후 … 마을들이 불타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는 것이다. - 『노블일지』- / 3.1운동(1919) 노블일지: 1892-1934 미 여선교사 매티 윌콕스 노블 여사가 목격한 한국근대사 42년간의 기록법9-13-21 • 일제가 교활한 ‘문화 통치’를 표방하게 되었다. / 3.1운동(1919.3.1.)법9-13-21 •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 3.1운동(1919.3.1.)법9-13-21 해외의 무장 독립 투쟁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 3.1운동(1919.3.1.)법9-13-21
대한 국민 의회를 조직하였다. / 대한 국민 의회(1919.3.17.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대통령 손병희, 국무총리 이승만법9-18-21
파리강화회의김규식을 파견하는 것이 논의되었다. / 파리강화회의(1919.1.18.~6.28.)국9-17-04 • 파리강화회의에 신규식을 대표로 파견하여 이 사건의 진상을 널리 알렸다. / X ⇒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하여 이 사건의 진상을 널리 알렸다. / 파리강화회의(1919.1.18.~6.28.) 이 사건: 3.1운동국9-14-19
• ★3·1 운동 직후에 만들어진 (가)___ 은/는 연통제라는 비밀 행정 조직을 만들었으며, 국내 인사와의 연락과 이동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 또 외교 선전물을 간행하여 일제 침략의 부당성을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가)___ 의 활동 방향을 두고 외교 운동 노선무장투쟁 노선 사이에서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 (가)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11.)국9-22-04 탑골공원에 모인 수많은 학생과 시민이 독립 선언식을 거행하고 만세를 부르며 거리를 행진하였다. 이후 만세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하였다. 이 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가 사이에는 독립운동을 더욱 조직적으로 전개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___ 가/이 만들어졌다. (가)___ 는/은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는 등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펼쳐 나갔다. / (가)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11.)지9-21-15 • 국내와의 연락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11.)지9-21-15 • 임시정부의 국무위원이었다. / 조소앙,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11.)지9-17-18 • (가)-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처음으로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 (가)이승만지9-12-18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함 /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4.11.) 이승만, 이동휘, 김구법9-17-21
신흥무관학교 / 1919.5.3. 만주, 독립군 양성학교국9-13-03 • (가)___는 신흥 무관 학교를 세웠고, (나)___는 형평사를 창립하였다. / (가)이회영 (나)이학찬 신흥무관학교(1919.5.3. 만주) 형평사(1923.4.25. 경상남도 진주)지9-22-20 •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해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 신흥무관학교(1919.5.3. 만주 신민회)지9-21-15 • 의열단에 가입하는 신흥 무관 학교 출신 청년 / 신흥무관학교(1919.5.3.) 의열단(1919.11.9.) 국9-18-10
• ★외교 운동을 위해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 구미위원부(1919.9.) 대한민국 임시정부국9-22-04 • 국제적인 외교를 통해서 일제의 만행을 알리고 우리나라의 독립을 알려야 한다. / 외교론국9-12-09
• 새로 부임하는 사이토 조선 총독에게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켰다. / 1919.9.2. 강우규지9-18-13
• 임시정부 요인과 제휴한 투탄 계획을 추진하였다. / 의열단(1919.11.9.)국9-16-15 의열단 / 의열단(1919.11.9.)지9-21-15 • 1922년 3월, 중국 상하이에서 ( ㉠ )이/가 일본 육군대장 타나카 기이치(田中義一)를 암살하고자 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때 체포된 독립운동가들은 일본 경찰에 인도되어 심문을 받게 되었는데, 그 심문 과정에서 ( ㉠ )에 속한 김익상이 1921년 9월 조선총독부 건물에 폭탄을 던진 의거의 당사자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 ㉠: 의열단지9-18-13 1919년 김원봉, 윤세주 등이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한 이 단체는 일제(日帝)의 요인 암살과 식민 지배 기관 파괴를 목표로 삼았다. 이 단체는 신채호가 작성한 조선혁명선언을 이념적 지표로 내세웠다. / 이 단체: 의열단(1919.11.9. 김원봉) 조선혁명선언(1923.1.)지9-17-2-19 • 이 단체에 속한 김익상조선총독부폭탄을 투척하였다. / 이 단체:의열단(1919.11.9.) 폭탄투척(1921.9.)지9-17-2-19 무장 투쟁을 통해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 / 의열단국9-12-09 의열단 단원으로 의거를 벌임 / 의열단(1919.11.9.) 나석주, 김상옥, 김익상, 박재혁법9-17-21 의열단이 근거지로 삼았던 지역을 살펴본다. / 의열단(1919.11.9. 만주 길림)법9-17-22 • 국내의 요인 암살, 식민 통치 기관 파괴 활동을 전개하였다. / 의열단(1919.11.9.)법9-13-19 나석주, 김상옥, 김익상, 박재혁 등이 활동하였다. / 의열단(1919.11.9.)법9-13-23 • 개인 폭력 투쟁을 통해 민중 직접 혁명을 달성하려 하였다. / 의열단(1919.11.9.)법9-13-23 • 1920년대 후반 무장 투쟁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 의열단(1919.11.9.)법9-13-23